심폐소생술 시행, 심장정지 생존율 대폭 높여

심장정지로부터 안전한 대한민국을 만들어간다!
기사입력 2019.11.27 05:30 조회수 46,130
댓글 0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 카카카오스토리로 보내기
  • 기사내용 프린트
  • 기사 스크랩
  • 기사 내용 글자 크게
  • 기사 내용 글자 작게

보건복지부.jpg

 

 

 

우리 국민을 심장정지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질본부가 보다 안전한 의료환경 조성에 나섰다.

 

이달 26, 질병관리본부와 소방청은 2006~2018년 구급대가 병원으로 이송한 급성심장정지 사례 의무기록을 조사한 결과를 공동으로 발표했다고 밝혔다.

 

지난해인 2018119구급대에 의해 병원으로 이송된 급성심장정지 환자 건수는 3539명으로 10년 전(08)보다 약 39.4% 증가했다. 심장정지 환자 발생 수는 0821905건에서 1329356건으로 대폭 증가하면서 지난해인 18년에는 3539건을 달성했다.

 

성별·연령별 조사결과에 따르면, 남자의 비율(64.0%)이 여자의 비율(35.9%)보다 높았다. 연령이 증가할수록 발생률이 증가했으며, 특히 70세 이상 어르신의 발생률은 전체 발생의 약 50%로 매년 증가 추세에 있다.

 

원인별 조사에 따르면, 질병이 전체 발생의 70% 이상을 차지하며, 질병 중에는 심근경색, 심부전, 부정맥 등 심장의 기능부전으로 인한 것이 93% 이상을 차지했다.

 

장소별 조사에 따르면, 가정이 대부분(45.3%)을 차지하며, 그 외 도로·고속도로(7.7%), 요양기관(7.6%), 구급차안(6.1%) 순으로 나타났다.

 

활동별 조사에 따르면, 일상생활 중(31.1%)에 가장 많이 발생했으며, 치료 중(8.2%) 근무 중(5.4%), 여가활동 중(2.0%)에도 발생했다.

 

급성심장정지 환자의 지난해 생존율은 8.6%, 뇌기능 회복률은 5.1%10년 전인 2008년보다 각각 3.4, 6.4배 증가했고, 전년 대비 비슷하게 나타났다.

 

뇌기능 회복률은 급성심장정지 환자가 퇴원 당시 혼자서 일상생활이 가능할 정도로 뇌기능이 회복된 상태를 의미한다.

 

특히, 환자가 쓰러지거나 쓰러진 환자를 목격한 일반인이 심폐소생술을 시행한 경우는 매년 증가(’081.9% ’1721.0% ’1823.5%.)하고 있으며, 심폐소생술을 시행하지 않은 경우에 비해 생존율은 약 1.9~3.3, 뇌기능 회복률은 약 2.8~6.2배 높게 확인됐다.

 

질병관리본부 정은경 본부장과 정문호 소방청장은 급성심장정지 조사결과에서 보듯이 심폐소생술 실시여부는 환자의 생존율에 즉각적인 영향을 미친다, “환자를 발견했을 때는 신속히 119에 신고하고, 일반인 심폐소생술을 늘리기 위해 지역주민의 지속적인 교육과 홍보가 무엇보다도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더불어, 2020년에 국제심폐소생술 가이드라인이 새로이 개정됨에 따라 한국형 심폐소생술 가이드라인 개정을 추진하고 있다고 밝혔다. 보건복지부 질병관리본부는 소방청과 함께 표준화된 교육을 더욱 확산해 나갈 예정이라고 전했다.

 

아울러 질병관리본부는 급성심장정지조사 현황 및 결과를 공유하고 생존율 향상을 위한 전략을 논의하기 위해 소방청과 공동으로 오는 1127() ‘8차 급성심장조사 심포지엄을 공동으로 개최한다.

 

향후에는 ‘2006-2018년 급성심장정지조사 통계집1230일에 발간해 17개 시·, 소방청 및 의료기관 등에 배포할 예정이다.

 

 

 

 

의료관광신문

<저작권자 © 메디타임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정지효 기자 skilleddoctor@naver.com]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 카카카오스토리로 보내기
<저작권자ⓒ메디타임즈 & meditimes.co.kr 무단전재-재배포금지>
댓글0
이름
비밀번호
 
 
신문사소개 | 광고안내 | 제휴·광고문의 | 기사제보 | 다이렉트결제 | 고객센터 | 저작권정책 | 개인정보취급방침 | 청소년보호정책 | 독자권익보호위원회 | 이메일주소무단수집거부 | RSS top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