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581건 ]
혁신기술 의료기기 안전 강화 방안 모색한다!
혁신기술 의료기기 안전 강화 방안 모색한다!
혁신기술이 적용된 의료기기의 안전을 강화하고, 보다 합리적인 규제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식약처가 의료기기에 대한 소통의 장을 마련한다. 식품의약품안전처 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은 이 같은 내용을 담은 ‘제5차 국제 의료기기 소통포럼’(7.3)과 ‘국제의료기기규제당국자포럼 협력회의’(7.4~7.5)를 개최한다고 밝혔다. 금번 포럼은 ‘차세대로 도약하는 의료기기 혁신 규제 모색’을 주제로 하고 있다. 포럼의 주된 내용은 ▶최근 미국·일본·중국의 혁신의료기기 안전관리 체계 및 관련 조직 개편 ▶개인정보와 환자안전을 위한 캐나다의 사이버 보안 ▶컴퓨터 모델링·시뮬레이션의 허가·심사 적용 ▶임상시험 자료의 대체 방법(임상평가보고서, 실사용 증거) 등이다. 포럼에는 미국, 일본, 캐나다 등 해외 규제기관과 산·학·연·관 의료기기 전문가 250여명이 참석해 자리를 빛낼 예정이다. 포럼을 앞두고 식약처 관계자는 “금번 행사가 디지털 헬스 등 혁신기술 의료기기의 안전관리 방안을 모색하고, 합리적인 규제 환경을 조성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며, “앞으로도 국민들에게 안전한 의료기기를 공급하고 관련 국내 산업이 발전하고 성장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해 노력할 것”이라고 밝혔다.
15세 이하 아동, 장애인 의료급여 절차와 접근성 대폭 개선돼
15세 이하 아동, 장애인 의료급여 절차와 접근성 대폭 개선돼
15세 이하 아동과 장애인의 의료급여 이용 절차 및 접근성이 개선된다. 의료급여의뢰서 없이 의료기관을 이용하는 아동 연령을 개선하는 등의 개정 규칙을 통해 그간 지적돼 온 불편이 해소될 것으로 기대된다. 보건복지부는 이 같은 내용을 담은 ‘개정 의료급여법 시행규칙’이 이달 1일부터 시행된다고 밝혔다. 개정규칙은 15세 이하 아동과 장애인의 의료급여 이용 절차를 개선하는 것을 주된 내용으로 하고 있다. 금번 법령 개정으로 1차 의료기관(의원)의 의료급여의뢰서 없이 2차 의료기관(병원)을 이용할 수 있는 아동 연령이 8세 미만에서 15세 이하로 확대된다. 이용시간대도 야간이나 공휴일로 한정하지 않도록 대폭 개선했다. 더불어, 장애인이 장애인구강진료센터를 이용할 시 장애인구강진료센터가 3차 의료기관이라 하더라도 2차 의료기관의 진료를 거치지 않고 바로 이용할 수 있도록 했다. 보건복지부 임은정 기초의료보장과장은 “금번 시행규칙 시행으로 아동과 장애인 등 최소 20만 명의 의료급여의 이용 절차가 편리해질 것으로 기대한다”며, “앞으로도 의료급여 보장성 확대와 함께 의료급여 이용의 접근성도 적극 개선해 나갈 방침”이라고 밝혔다.
제약바이오협회-심평원, AI신약개발 등 제약산업 발전 MOU체결
제약바이오협회-심평원, AI신약개발 등 제약산업 발전 MOU체결
국내 제약산업의 발전 및 AI 신약개발 등 기술교류를 위해 한국제약바이오협회가 건강보험심사평가원과 양해각서를 체결했다. 제약바이오협회는 지난 26일, 서울 방배동 협회 회관에서 건강보험심사평가원과 국민건강 증진 및 국내 제약산업 발전을 위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고 27일 밝혔다. 협약을 통해 협회는 심평원이 보유한 양질의 빅데이터를 한국보건산업진흥원과 공동 설립한 인공지능신약개발지원센터에서 적극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는 방침이다. AI 신약개발에는 활용 가능한 방대한 양의 빅데이터가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만큼, 금번 협약을 통해 인공지능신약개발지원센터의 AI 신약개발 지원 사업의 속도가 가속화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금번 협약의 주된 내용은 ▶빅데이터 활용 등을 통한 AI 신약개발 인프라 구축 ▶신약개발 등 공동연구개발 및 기술교류 ▶AI 신약개발 등 제약 관련 교육 협력 ▶기타 사업의 원활한 추진을 위한 상호 협력 등이다. 이는 협회가 최근 제약산업 발전과 AI 신약개발 인프라 구축을 위해 추진하고 있는 오픈 이노베이션(개방형혁신) 전략에 따라 이뤄졌다. 한국제약바이오협회 원희목 회장은 “심평원은 실제로 의료현장에서 발생하는 방대한 빅데이터를 보유하고 있어 금일 협약은 아주 중요한 부분”이라며, “MOU로 끝나는 것이 아니라 새로운 시작이 될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협력해 실질적인 성과를 내도록 주력할 것”이라고 전했다.
대동병원, ‘유소아 급성중이염 항생제 사용평가’ 1등급 획득
대동병원, ‘유소아 급성중이염 항생제 사용평가’ 1등급 획득
지난 20일, 부산 대동병원(병원장 박경환·부산시병원회 회장)이 건강보험심사평가원(원장 김승택, 이하 ‘심평원’)이 발표한 ‘2018년 유소아 급성중이염 항생제 사용 적정성 평가’에서 1등급을 받았다고 26일 밝혔다. 심평원에서 실시하고 있는 적정성 평가는 의료기관이 국민에게 제공하는 진찰·시술·투약·검사 등 의료서비스를 의·약학적 타당성과 비용·효과적 측면에서 평가하여 의료의 질적 수준 향상과 비용 부담의 적정화를 도모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유소아 급성중이염 항생제 등 약제 적정성 평가는 지난 2012년부터 실시하고 있다. 대동병원은 급성 중이염 항생제 처방률, 성분 계열별 항생제 처방비율, 부산피질 호르몬제 처방률, 중이염 상병비 중 등 총 5개 항목에서 우수한 처방률을 보여 1등급을 획득했다. 대동병원 소아청소년과 이균우 부장은 “중이염은 이 중이강 내에 생기는 염증성 질환으로 유소아에서 발생하는 세균성 감염 중 가장 흔한 질환”이라며, “특히 38도 이상 고열, 귀 통증, 고름 등 증상이 나타나는 급성중이염은 소염진통제, 비점막 수축제 투여 등으로 증상을 완화시킬 수 있으나 과다한 항생제 처방은 내성이 생겨 약물 효과가 떨어지거나 더 강한 약물을 써야 하는 경우가 생길 수 있어 증상에 따른 적절한 항생제 치료가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계명대 동산의료원, 메디엑스포에서 ‘대구국제의료관광전’ 진행
계명대 동산의료원, 메디엑스포에서 ‘대구국제의료관광전’ 진행
우리나라의 선진화된 의료기술과 우수한 의료관광시스템을 홍보하기 위해 계명대 동산의료원이 풍성한 행사를 진행했다. 계명대학교 동산의료원은 지난 21일부터 3일간 대구 엑스코에서 개최한 '2019 메디엑스포 코리아'에서 '대구국제의료관광전'을 펼쳤고 24일 밝혔다. 금번 대구국제의료관광전은 올해로 9회째 개최된 행사로, 의료관광 분야의 우수성을 널리 알리고 국제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 마련됐다. 메디시티 대구의 선도적인 의료관광 산업인프라를 소개하고 해외 마케팅을 강화하기 위해 메디엑스포와 함께 개최됐다. 동산의료원은 엑스코 1층 대형병원관 부스에서 해외 바이어들을 대상으로 한 국제컨퍼런스, 의료관광인의 밤, 비지니스 미팅 등을 진행하고, 메디시티대구의 우수한 의료관광시스템과 선진 의료시스템을 홍보했다. 김권배 동산의료원장은 "메디시티 대구의 큰 축제인 메디엑스포를 통해 해외바이어들에게 우리나라의 선진화된 의료기술과 우수한 의료관광을 전파할 수 있어 좋은 기회가 됐다“며, "메디엑스포와 함께 앞으로도 우리 동산의료원이 120년 역사를 바탕으로 더욱 글로벌한 의료기관으로 나아갈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해 주력하겠다"고 전했다.
국립중앙의료원, 공공의료협력 위한 대구·경북권 포럼 개최
국립중앙의료원, 공공의료협력 위한 대구·경북권 포럼 개최
지역의료기관 및 공공보건의료의 협력체계를 구축하고, 의료기관 간 네트워크 활성화를 도모하기 위해 국립중앙의료원이 CEO포럼 개최에 나선다. 이달 20일, 국립중앙의료원(원장 정기현) 공공보건의료교육훈련센터는 오는 21일(금) 대구광역시 노보텔앰배서더에서 ‘대구·경북권역 공공보건의료 CEO포럼’을 개최한다고 밝혔다. 포럼은 대구·경북권역 시도 보건의료정책 담당자, 국립대학교병원장, 지방의료원 및 적십자병원장, 공공전문질환센터장 등 30명이 참석할 예정이다. 금번 ‘대구·경북권역 공공보건의료 CEO포럼’에서는 지난해 10월에 발표된 ‘공공보건의료 발전 종합대책’의 핵심 키워드인 권역-지역-기초 간 공공보건의료 협력체계 구축에 관한 실제적인 방안을 모색한다. 주된 교육프로그램은 ▶중앙정부의 공공보건의료 정책현황 및 이슈 ▶권역의료기관으로서의 국립대병원의 역할과 과제 ▶지역의료기관으로서의 지방의료원 및 적십자병원의 역할과 과제 ▶지방정부의 역할과 지원 방안 ▶퇴원사업 케어플랜 수립 및 지역사회 연계방안 ▶대구·경북권역 공공보건의료 연계협력체계 구축을 위한 논의 등의 내용으로 구성돼 진행된다. 국립중앙의료원 정기현 원장은 “공공의료기관의 연계·협력 체계가 존재하고 있기는 하지만, 지역 및 의료기관마다 상황과 자원이 다르기 때문에 중앙 중심적인 정책을 추진하는 것은 한계에 도달할 수밖에 없다”며, “공공의료 강화는 제도적 지원은 물론, 공공의료기관 간의 협력, 더 나아가 민간의료기관과의 협력까지 유기적으로 이루어져야 가능한 문제”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