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4건 ]
뇌졸중, 당뇨환자 및 흡연자가 코로나19에 취약한 원인 규명
뇌졸중, 당뇨환자 및 흡연자가 코로나19에 취약한 원인 규명
(사진제공=질병관리본부) 질병관리본부 국립보건연구원은 담배연기 및 뇌졸중, 당뇨병에 의해 세포 내 코로나19 바이러스의 수용체 안지오텐신전환효소(ACE2)가 증가한다는 결과를 발표했다. 코로나 바이러스는 표면 돌기 단백질(스파이크 단백질)을 ACE2에 결합시켜 세포 내로 침투하고 증폭하는데, 결국 ACE2가 많은 환자들이 그렇지 않은 환자들보다 더 위험할 수 있다. 또한, 코로나19 바이러스 세포 내 침투과정에서 세포표면 ACE2가 감소되어 인체 내 안지오텐신2가 증가하고 혈압상승으로 이어져 병이 중증으로 진행 가능성이 높아지게 된다. 담배연기, 뇌졸중 및 당뇨병 환자 세포에서 ACE2가 증가한다는 연구결과는 당뇨, 뇌졸중 등 기저질환자 및 흡연자가 코로나19에 더 취약했던 원인을 밝혔다는데 의의가 있으며, 금연과 사회적 거리 두기 등 예방관리에 특히 주의를 기울일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세계보건기구(WHO)는 코로나19로 인한 중증질환으로의 이환 또는 사망에 관련된 위험요소를 고령자, 만성질환, 흡연으로 규정하였다.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CDC)는 코로나19로 입원한 환자 중 만성질환자의 비율이 91.7%에 달한다고 보고하였으며, 유럽 질병예방통제센터(ECDC)는 입원 후 중환자실로 이송된 환자 중 만성질환자의 비율이 공통적으로 높았다고 밝혔다. 국립보건연구원 고영호 박사팀은 코로나19로 인한 중증 질환 위험 요인인 뇌졸중, 담배연기 및 당뇨에 노출된 혈관 및 뇌 성상세포와 뇌 조직에서 나타난 변화를 분석하였고, 그 결과 코로나19 바이러스 수용체 역할을 하는 ACE2 발현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국립보건연구원 「만성병관리기술개발연구사업」지원으로 수행되었고, 국제학술지인 생화학·생물리학 연구학회지(Biochemical and Biophysical Research Communications) 최근호에 게재되었다. 본 연구는 코로나19 고위험군인 당뇨, 뇌졸중 등 기저질환자 및 흡연자가 코로나19에 더 취약했던 원인을 밝혔다는데 의의가 있다. (자료출처=질병관리본부)
겨울철 심근경색·뇌졸중 예방.관리 주의 !
겨울철 심근경색·뇌졸중 예방.관리 주의 !
(사진=보건복지부) 질병관리본부는 기온이 급격히 떨어지는 겨울철에는 특히 심뇌혈관질환을 주의해야하며 조기증상이 나타나면 즉시 119에 연락하여 신속히 가깝고 큰 병원 응급실에 갈 것을 당부하였다. 기온이 내려가면 몸의 혈관이 급격히 수축되고 혈압이 상승하기 때문에 심뇌혈관질환 중 특히 심근경색과 뇌졸중이 많이 발생한다. 지난 10년간 심뇌혈관질환으로 인한 월별사망자 수는 날씨가 추워지는 10월부터 급증하기 시작하여 기온이 급격히 떨어지는 1월에 정점을 이루고 일교차가 큰 3월까지 높게 나타나는 추세이다. 심근경색과 뇌졸중은 증상이 갑자기 나타나는 것이 특징이나, 조기에 발견하여 치료하면 사망과 장애를 막을 수 있다. 주요 증상으로는 갑작스런 가슴통증이 30분 이상 지속되거나 호흡곤란, 식은땀, 구토, 현기증 등이 나타날 때 심근경색을 의심해야 한다. 또한 한쪽 마비, 갑작스런 언어 및 시각장애, 어지럼증, 심한 두통 등은 뇌졸중의 조기 증상이다. 심근경색과 뇌졸중(뇌경색)의 적정한 치료를 위한 최적시기(골든타임)은 심근경색 2시간 이내, 뇌졸중 3시간 이내이다. 심근경색과 뇌졸중은 증상이 나타나면, 즉시 119에 연락하여, 가장 가깝고 큰 병원 응급실로 가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심뇌혈관질환 예방과 관리를 위해서, 평소 정기적인 혈압, 혈당 및 콜레스테롤 수치 확인 등 건강한 생활습관 실천이 중요하며, 응급상황에 대비하여 평소 심근경색 및 뇌졸중 증상을 미리 알고 대처요령을 익혀두는 것이 좋다
프랑스 국민배우도 피할 수 없었던 ‘뇌졸중’
프랑스 국민배우도 피할 수 없었던 ‘뇌졸중’
1964년 영화 ‘쉘부르의 우산’에서 인상적인 연기로 세계적인 인기와 명성을 얻었던 프랑스의 국민배우 까뜨린느 드뇌브가 지난 6일 영화 촬영 중 뇌졸중으로 쓰러졌다는 소식이 알려지면서 전 세계 영화팬들의 걱정을 안겼다. 올해 76세인 까뜨린느 드뇌브는 프랑스 누벨바그의 대표 감독인 프랑소와 트뤼포의 ‘마지막 지하철’에 출연해 명성을 공고히 했으며 1992년작 ‘인도차이나’로 제65회 아카데미 시상식에서 여우주연상 후보에 오르기도 했다. 지난 5월에는 제72회 칸 국제영화제에서 황금종려상 수여자로 나서 봉준호 감독에게 트로피를 전달하면서 화제가 된 바 있다. 드뇌브의 가족들은 그녀가 상태는 심하지 않다며 뇌손상도 없어서 휴식을 취하면 회복이 될 것으로 내다보았다. 하지만 유명 배우의 뇌졸중 소식에 그녀의 질병에 대한 관심도 커지고 있다. 부산 대동병원 뇌졸중센터 강태호 과장(신경과 전문의)은 “일단 뇌졸중은 한번 발생하면 무조건 병원을 찾아야 한다. 증상이 가볍다고 방치하거나 민간요법 등에 의존하여 초기 치료시기를 놓쳐 증세가 더 나빠지는 일은 없도록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고 강조한다. 또 “뇌졸중은 그 치료가 어렵고 뇌수술 후에도 경련 같은 후유증을 남기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뇌졸중에 걸린 후 치료하는 것보다는 뇌졸중에 안 걸리도록 평소 예방하는 것이 훨씬 바람직하다”고 조언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