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개 이상 약물 복용하는 노인, 사망위험 25%나 증가한다!

건보공단, 전 국민의 건강보험 빅데이터로 65세 이상 3백만명, 5년간 추적
기사입력 2019.08.20 18:30 조회수 48,275
댓글 0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 카카카오스토리로 보내기
  • 기사내용 프린트
  • 기사 스크랩
  • 기사 내용 글자 크게
  • 기사 내용 글자 작게

medicine-2994788_960_720.jpg

 

 

 

5개 이상 약물을 복용하는 노인의 사망위험이 25%나 증가하는 조사결과가 발표됐다. 이에 건보공단은 올바른 약물이용지원 시범사업을 확대해 노인의 건강수준 향상에 주력한다고 밝혔다.

 

이달 20, 국민건강보험공단은 국민건강보험 자료를 이용한 다제약물(Polypharmacy) 복용자의 약물 처방현황과 기저질환 및 예후에 관한 연구결과를 발표했다.

 

연구는 최근 고령인구, 만성질환, 복합질환 등의 증가로 인해 여러 개 약물을 동시에 복용하는 노인이 늘어나고 있음에 따라, 다제약물 처방이 노인에게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것이다. 대상은 65세 이상 중 20121월부터 12월까지 1년 동안 약물 처방이 270일 이상이고 입원이 없는 3,008천명이다.

 

건보공단은 전 국민 건강보험 빅데이터를 활용해 5개 이상의 약물을 동시에 처방받은 노인의 현황을 파악하고 다제약물 처방이 입원 및 사망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했다.

 

대상자 중 5개 이상의 다제약물을 처방받은 사람(이하 다제약물군)46.6%였으며, 다제약물군이 4개 이하의 약물을 처방받은 군(이하 대조군) 보다 부적절 처방률도 33.2%p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대상자를 2013년부터 2017년까지 5년 동안 추적한 결과, 다제약물군은 대조군에 비해 입원 및 사망 위험이 각각 18%, 25% 더 높게 나타났다.

 

특히 다제약물군 중에서도 처방약물 개수가 증가할수록 입원, 사망 위험이 높아져, 11개 이상 복용군은 2개 이하 복용군보다 입원 및 사망위험이 각각 45%, 54%까지 증가하는 결과를 보였다.

 

건보공단은 이러한 다제약물 복용의 부작용을 줄이기 위한 취지로 올바른 약물이용지원 시범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지난해에 이어 올해에도 만성질환 범위와 서비스 대상자를 13개 질환, 3,000명으로 대폭 넓혔다. 대상자는 사회, 경제, 임상적 특성을 고려해 우선순위 대상자를 선정하고 있으며, 전문가가 대상자를 방문해 약물이용 상태를 점검하고, 약물이용의 개선을 위한 3개월 간 상담을 제공하고 있다.

 

더불어, 서비스의 효과를 높이기 위해 의사-약사의 긴밀한 협업 필요성이 제기됐다. 이에 서울시 의사회와 업무협약을 체결해 서울시의사회 주도로 의사-약사-공단이 협업하는 서비스를 개발하고 있다. 올해 9월부터 서울시에서 시범 운영할 계획이다.

 

건보공단 강청희 급여상임이사는 금번 연구결과를 통해 노인환자에서의 빈번한 다제약물 복용은 부적절 약물사용 빈도를 높이고 결과적으로 입원 및 사망 위험 증가와 연관이 깊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고 밝혔다.

 

건보공단에 따르면 당뇨병 등 1개 이상의 질환이 있고 10개 이상의 약물을 복용하는 사람은 지난해 기준 95만 명을 초과하며, 현재의 고령화 추세를 고려하면 앞으로 더욱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공단은 이어 올바른 약물이용지원 시범사업을 지속 확대해 대상자의 건강수준 향상을 위해 주력할 것이라며, ”특히 올해는 지역의사회가 참여하는 사업이 병행되어 약물이용지원 서비스의 실질적인 개선을 기대하고 있다고 밝혔다.

 

 

 

의료관광신문

<저작권자 © 메디타임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정지효 기자 skilleddoctor@naver.com]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 카카카오스토리로 보내기
<저작권자ⓒ메디타임즈 & meditimes.co.kr 무단전재-재배포금지>
댓글0
이름
비밀번호
 
 
신문사소개 | 광고안내 | 제휴·광고문의 | 기사제보 | 다이렉트결제 | 고객센터 | 저작권정책 | 개인정보취급방침 | 청소년보호정책 | 독자권익보호위원회 | 이메일주소무단수집거부 | RSS top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